한동훈 대표가 어제는 조속한 대통령의 직무집행정지를 언급하고 오늘은 대통령이 정상적인 직무수행은 불가능한 상황이다, <br /> <br />이렇게 말했지만 탄핵에는 또 반대하는 왔다갔다하는 모습을 보였는데. <br /> <br />[우원식 / 국회의장] <br />많은 국민들이 와서 투표 결과를 기다리고 있고 그뿐만 아니라 세계가 이 투표 결과를 지켜보고 있습니다. 세계는 아까도 말씀드렸습니다마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이렇게 허약한가. 아니면 2시간 반 만에 국회가 모여서 계엄을 해제시킬 만큼 복원력이 강고한가.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보고 있습니다. 투표 불성립이라는 것은 헌정 사상 지금까지 5번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국회법에도 114조의 2, 의원은 국민의 대표자로서 소속 정당의 의사에 귀속되지 아니하고 양심에 따라 투표한다, 이런 조항이 국회법까지 있습니다. <br />이것마저 훼손되는 것이냐. 국회가 군인들의 군홧발에 짓밟히는 2024년 대한민국 국회의 모습, 그걸 보고 세계가 놀랐는데 또 소속 정당의 의사에 귀속되지 아니하고 양심에 따라 투표한다. 이것까지 무너지는 모습을 우리가 꼭 보여야 되겠습니까? 우리 김상욱 의원이 이 자리에 계십니다. 어떻게 투표했는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. 본인의 소신에 따라서 했을 겁니다. 저렇게 하시면 되는 거 아닙니까? <br /> <br />가장 부끄러운 것은 우리 헌법 사상 5번밖에 되지 않는 무기명 투표, 투표 불성립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게 정말 부끄러운 일 아닙니까? 뭐하러 그렇게 합니까? 지난번 투표를 보면 부결시킬 자신이 있지 않나요? 최소한 국회법 제114조의 2 자유투표를 지키려고 하는 교섭단체 대표가, 물론 지금 의총하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. 그리고 투표의 불참 의사를 자유롭게 갖고 있는 그런 의원님들이 모여 있다고 합니다. 왜 불참을 선택합니까? 들어와서 투표해서 의사를 표현하시면 되죠. 가장 부끄러운 투표 방법이 투표 불성립 아닙니까? 그런 점에서 우리 국민 전체가 아마 지켜보고 계실 겁니다. 이 투표 결과를 바라보고 또 우리의 미래를 생각할 것입니다. 전 세계가 그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신대로 투표하셔서 소신의 결과물을 갖는 것이 불성립보다는 훨씬 민주적입니다.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퇴행하지 않도록 이 민주주의는 정말 한 사람, 한 사람의 국민들이 어렵게 힘들게 땀 흘려가며 피 흘려가며 만든 민주주의입니다. 우리 국민들이 위기 극복 DNA를 세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120720171183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